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7 2025년 신혼부부 혜택 총정리! 혼인신고 하면 100만원?! 2025년 서울에서 혼인신고를 하는 신혼부부들은 최대 100만 원의 결혼살림 장만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에게 정말 반가운 소식일 텐데요! 😄 이번 정책은 신혼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결혼을 장려하기 위한 서울시의 새로운 지원 정책입니다. 그렇다면 누가 받을 수 있고, 어떻게 신청하면 될까요? 지금부터 서울시 신혼부부 혜택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서울시 신혼부부 100만 원 지원 혜택이란?서울시는 결혼을 앞둔 신혼부부들이 살림을 장만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이 지원금은 현금 또는 지역 내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지급될 예정이며, 2025년 10월부터 시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모든 부부가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소득.. 2025. 2. 10.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 기내 선반 보관 방지책 시행 여행 갈 때 필수로 챙기는 물품이 있다면 단연 보조배터리 일 텐데요.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많은 만큼 보조배터리는 필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이 보조배터리로 추정되면서 각 항공사마다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이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비행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에 대해 알아보고 새롭게 달라지는 점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보조 배터리 기내 탑승 규정 비행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는 수하물로 넣어서는 안 되며, 기내에 가지고 타셔야 합니다. 100Wh(와트시) 이하 보조 배터리는 1인당 5개까지 기내 반입이 가능하며, 6개 이상 반입 시에는 항공사 승인이 필요합니다.100Wh 초과~ 160Wh 이하 : 항공사 승인 필요, 1인 2개 제한(단, 100Wh 초과~160Wh.. 2025. 2. 6. 주거안정장학금 신청하고 20만원 받으세요! 거주지와 먼 곳으로 대학에 다니게 되셨나요? 2025년부터 새롭게 주거안정장학금 시행됩니다. 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기초・차상위 학생이라면 주거 안정 장학금 신청을 하면 월 최대 20만 원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해당되는 학생들은 신청 후 주거비용에 대한 부담을 덜어보시면 좋겠습니다. 1. 신청 대상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기초・차상위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단, 모든 대학의 학생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사업 참여대학에 한해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업 참여대학 여부 조회는 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참여대학 검색에서 가능합니다.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복학생, 재학생 등 모든 학부 학적의 학생들이 신청이 가능합니다.신입생의 경우에는 입학예정 또는 확정된 대학을 반드시 신청 한 후.. 2025. 2. 5. 구준엽 아내 서희원 폐렴 사망소식 안타깝고 슬픈 소식 정말 믿기 어려운 소식입니다. 구준엽씨의 아내 서희원 님의 사망 소식이 오늘 낮 전해졌는데요. 새해를 맞아 일본으로 여행을 갔다가 걸린 독감이 폐렴으로 증세가 악화 된 것이 사망의 원인으로 고 서희원의 동생 서희재 님이 밝혔다고 합니다. 향년 48세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고 서희원 님은 대만의 대표 배우로 유성화원, 천년유혼 등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유명 배우입니다. 지난 2022년 구준엽씨와 재회하며 이 둘의 러브스토리는 많은 이들의 가슴에 감동을 주었는데요. 2000년대 초반 연인 관계였던 두 사람은 결별 하였고 각자의 인생을 지냈습니다. 2022년 고 서희원님의 이혼 소식에 용기를 내어 예전 연락처로 연락을 해보았던 구준엽씨와 다시 인연이 닿아 만남을 이어갔고 결혼을 하며 행.. 2025. 2. 3. 광명 민생안정지원금 신청방법 및 주의사항 경기도 광명시에서 거주하고 계신가요? 경기도 광명시에서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한 일환으로 민생지원금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모든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씩 지급되는데요. 신청을 안 하면 10만 원이 사라지니 꼭 기간 내 신청하세요. 지급 대상 2025년 1월 15일 기준, 광명시에 주민등록이 등재된 시민. 안타깝게도 2025년 1월 16일 이후 타 지역에서 광명시에 전입하신 분들은 이번 혜택에서는 제외됩니다. 신청기간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의 신청기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다르게 적용되어 있습니다. 마감 기한은 3월 31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같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온라인: 2025년 1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방문신청 : 2025년 2월 10일부터 3월 31일.. 2025. 2. 3. 2025년 공익직불금 변경 사항은? 지급 단가 인상 및 신청 방법 2025년 공익직불금은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지원하고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올해는 특히 지급 단가 인상과 신청방법의 다양화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공익직불금이란?공익직불금은 농업인이 환경 보전, 식품 안전, 농촌 유지 등 다양한 공익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농업인의 생활 안정을 도모합니다. 2025년 공익직불금 주요 변경 사항지급 단가 인상: 2025년부터 면적직불금의 지급 단가가 평균 5% 인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1ha(3,000평) 당 100만~205만 원이었던 단가가 136만~215만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신청 방법 다양화: 온라인과 방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2월 .. 2025. 2. 3. 이전 1 2 3 4 ··· 17 다음 반응형